반응형
대규모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전략 / Tool
개요
- 업무시스템을
Cloud로 옮기고 싶은경우 - Cloud 서비스가 제공하는 규정준수 / Scaling을 요구하는 경우
- 하드웨어 / 소프트웨어 교체
- 비용적인 측면
업무시스템을 Cloud로 전환하기 전 준비
- 현재 상태를 진단한다
- 조직은 준비되어있는가?
- 어떤 부분을 Cloud로 옮길것인가?
- Cloud로 옮기면서 우리가 얻는것은 무엇인가?
- 계획을 수립한다
- 포트폴리오 정리
- 어떤 부분을 Cloud로 옮길 것인가? 마이그레이션 할 것인가?
- Cloud 기초환경을 구성해야 한다(Network, Account, Service …)
- 마이그레이션 작업
- 다수의 시스템을 동시에 진행 → 자동화 툴을 사용해야 한다
마이그레이션에 도움을 주는 AWS Service
1. 포트폴리오 정리

- AWS Application Discovery Service
- 자료수집 서비스
- Agent를 사용하여, IDC내의 서버의 정보를 수집한다
- 수집한 정보를 기반으로 계획을 수립…
- AWS Migraiton Hub
- 정보를 모이면 → 해당 Hub에 모인다
- 해당 Hub에서 전략을 수립해준다.
어떻게 마이그레이션을 할것인가?
2. 기초 플랫폼 구성

- 각각 VPC로 나누는 것보단, 계정을 나눠서 관리하는 것이 더 효율적임
AWS Control Tower를 사용하는것이 좋음 (다중 계정 관리 + SSO + 작업추적 관리)
3. Relocate: VMware 마이그레이션

- VMWare를 사용하여, AWS로 Migration을 진행할 수 있음
4. Rehost: onPremise 서버를 AWS로 Migration (MGN 사용)

- Source 에 AWS Agent를 설치
- Source Disk에서 Staging AWS Cloud EBS에
실시간 복제( 압축 및 암호화 ) - Staging EBS에서
Cut Over를 진행하면 → Migraiont Service가 실제 소스 서버로 자동변환 - 시작된 인스턴스가 잘 동작하는지 확인
- 소스 서버를 모두 마이그레이션하면 → Staging EBS및 Migation Service를 삭제 가능
5. 운영체제 및 미들웨어 변경
- AmazonLinux 및 ECS, EKS 컨테이너 기반으로 옮길수 있음
- Chef, Puppet을 사용한다면 →
AWS Opswork를 사용하여 구성관리 가능
6. Database Migration

AWS Migraiton Service- 동종 DB도 옮길수 있고 → 이종 마이그레이션으로 옮길수도 있음
AWS Schema Conversion Tool- 자동으로 변환하여 → 예측가능한 방식으로 이기종 데이터베이스로 변환가능
7. 데이터 마이그레이션

- AWS SnowBall
- 오프라인 데이터 전송 서비스
- Onpremise 데이터 복사 → AWS 데이터센터로 데이터 이동
- AWS DataSync (
실시간 데이터 Sync를 맞출 수 있다)- 네트워크 대역폭을 최적화하며 → Onpremise → AWS로 온라인 데이터 전송
Reference
대규모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전략과 AWS의 도구들 - 이경원, 박기흥 솔루션즈 아키텍트, AWS :: AWS Summit Korea 2022
반응형
'컨퍼런스 내용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강연정리) EKS 아키텍처 구성하기 (0) | 2024.12.22 |
|---|---|
| 강연정리) EKS + Kinesis = CQRS (1) | 2024.12.22 |
| 강연정리) 글로벌 채팅 서비스 (카카오) (1) | 2024.12.22 |
| 강연정리) EKS + 당근페이 + BNX (0) | 2024.12.22 |
| 강연정리) 굿닥 AWS EKS 전환사례 (0) | 2024.12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