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네트워크란?
- 링크 연결 형태
- 네트워크 토폴로지
1. 네트워크란?
네트워크란 기본적으로 장치 + 링크가 합쳐진 집합체이다.
그렇다면 좋은 네트워크는 어떤 어떤 네트워크 일까?
==> 좋은 네트워크는 많은 양의 트래픽을 통과시킬 수 있는 즉 처리량이 많은 네트워크이다.
(물론 지연시간이 낮아야하고, 신뢰성도 좋아야하고, 보완성도 높아야하는 부수적인 것도 있다)
(그림 더럽게 못그림)
나를 비롯한 모두가 신뢰성과 보완성은 대충아니까, 지연시간만 얘기하자면
1,2 경유시간 : 한장치에서 다른장치로 이동하는시간
응답시간 : 요청의 대한 응답에 소요한 시간
왕복시간 :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갔다가 오는시간인데,
생각해보면 저 사이클이 빠르면 빠를수록 당연히 속도가 빠르겠지...
2. 링크연결형태
윗글에서 네트워크란 장치와 링크의 집합체라 하였는데, 여기서 링크간의 연결을 알아보자
링크는 기본적으로
- 1:1 연결
- 1: multipoint 연결이 있다...
뭐... 따로 설명은 필요없을 것 같다.
3. 네트워크 토폴로지
네트워크 토폴로지 : 상호간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, 유무선을 통해 연결된 형태를 말한다.
컴퓨터네트워크참여하는 요소들.....뭐 설명이 많던데 그냥 쉽게말하면 각 컴퓨터들이 어떤 모양, 형태로
데이터를 주고받는 모양을 말하는것같다.
- 1. star 형
어떻게 그림을 이렇게 그렸는지 정말 소름끼치지만 star형이다.
대략 hub를 중심으로 별처럼 쭉쭉 이어나간다고 해서 star형이다.
이 star형은 hub를 중간에 끼고 있기 때문에 hub를 중심으로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하기 때문에 관리가
용이하지만, 장애가 발생하면 다 망가질 우려가 있는 위험한 놈이다.
- 2. bus 형
이건 솔직히 잘그림..
이 bus형은 공통bus를 기준으로 연결이 돼있기때문에, 특정 노드의 장애가 다른 노드에게 영향을 주진 않는다.
하지만 노드수가 증가하면 이 bus의 트래픽이 증가하기때문에 네트워크성능이 저하될우려가 있다.
- 3. ring 형
내가 원하는 그림은 이런게 아니였는데, 이상한 모양이 돼버렸다....(다른 그림보자)
ring형은 좌우의 인접한 노드와 연결되어서 마치 ring처럼 생겼다 해서 ring형이다.
- 4. mesh 형
mesh는 그리기 너무 귀찮아서 쉽게 생각하면 mesh형태의 그물망처럼 돼있다고 생각하자...
star형, bus형, ring형이 아니면 거의다 mesh형태이다
mesh형태는 그물처럼 돼있기 때문에 한 회선이 장애가 발생해도, 다른 회선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면
돼니까 유연하게 대처할수 있다만,
회선이 많으니까, 회선구축비용이 오지게 든다.
이러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위 4개의 형태 중 특정하게
하나를 쓰는게 아닌, 서로 복합해서 쓰는것이 특징이다.
# 틀린거나 고쳐야 할점 있으면 댓글좀..
'웹 공부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. 네트워크의 분류 (0) | 2020.03.01 |
---|